EVPN-VXLAN 코어 격리 비활성화 시기 이해
기본적으로 EVPN 네트워크의 스파인 및 리프 디바이스는 코어 격리 기능을 구현합니다. 이러한 디바이스 중 하나에 EVPN BGP 피어링 세션이 모두 손실되면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와 함께 작동하는 코어 격리 기능이 디바이스에서 모든 레이어 2 이더넷 세그먼트 식별자(ESI) 링크 어그리게이션 그룹(LAG)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중단시킵니다.
일부 상황에서는 코어 격리 기능이 더 유리한 결과를 낳습니다. 그러나 다른 상황에서는 피쳐가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생성하여 피쳐를 비활성화하여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각 케이스의 예시 상황을 설명합니다.
사용 사례 1: 코어 격리 기능 사용 사례 예
그림 1 은 2개의 QFX10000 스위치가 EVPN-VXLAN 코어를 형성하는 스파인 디바이스 역할을 하는 토폴로지 를 표시합니다. 이 토폴로지에서 리프 디바이스 역할을 하는 6개의 QFX5110 스위치는 스파인 디바이스에 대한 액티브-액티브 모드에서 멀티호밍되며, 차례로 각 서버는 ESI-LAG 인터페이스를 통해 두 개의 리프 디바이스로 멀티홈됩니다.

Leaf 1과 두 스파인 디바이스 간의 링크가 중단되면 링크를 통해 설정된 BGP 피어링 세션도 중단됩니다. 코어 격리 기능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된 상태에서 LACP는 Leaf 1의 서버 대면 인터페이스를 대기 모드로 설정하여 서버의 모든 트래픽을 차단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어 격리 기능의 기본 구현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Leaf 1에서 스파인 디바이스 모두로 연결되는 링크가 끊어지면 서버가 리프 1로 트래픽을 계속 전달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리프 1과 두 스파인 디바이스 간의 링크가 다시 작동할 때까지 서버의 트래픽이 Leaf 2로 전환됩니다.
사용 사례 2: 코어 격리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경우 예
그림 2에 표시된 토폴로지는 멀티섀시 링크 어그리게이션(MC-LAG)에서 Virtual Chassis 환경을 EVPN-VXLAN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있습니다. 이 토폴로지에서 유일한 EVPN-VXLAN 구성 요소는 스파인 디바이스 역할을 하는 두 개의 QFX10000 스위치입니다. 리프(MC-LAG 및 Virtual Chassis) 디바이스 역할을 하는 QFX5110 스위치는 스파인 디바이스에 대한 ESI-LAG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티브-액티브 모드에서 멀티호밍됩니다.

Spine 0과 Spine 1 사이의 링크가 끊어지면 마지막으로 설정된 BGP 피어링 세션도 중단됩니다. 코어 격리 기능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된 상태에서 LACP는 Spines 0 및 1의 리프 대면 인터페이스를 대기 모드로 설정하여 두 리프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두 리프 디바이스에서 삭제합니다. 리프 디바이스 수준에서 코어 격리 기능이 구현되면 데이터센터 내 트래픽이 본질적으로 중단되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입니다.
이와 같은 경우, 각 스파인 디바이스 구성 계층 수준에서 을(를) 설정 no-core-isolation
[edit protocols evpn]
하여 코어 격리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그림 2에서 AFTER 그림을 참조하십시오. 이 문은 전역 수준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든 EVPN 라우팅 인스턴스 또는 여러 라우팅 인스턴스가 없는 디바이스의 기본 스위치 인스턴스에 적용됩니다.
[edit protocols evpn]
스파인 디바이스 계층 수준에서 구성 문을 설정
no-core-isolation
하여 코어 격리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